어쩌겠어

취향은 어떻게 계급이 되는가 본문

독서

취향은 어떻게 계급이 되는가

다이빙어 2025. 3. 4. 23:05
반응형

취향은 어떻게 계급이 되는가


*모모
-다시 읽어봐야겠다
-회색 신사들에게 시간을 허망하게 빼앗기는 친구들을 구하기 위해 홀로 싸우는 소녀의 이야기

*취향 자본
-부르디외 구별짓기
-문화 자본: 소비를 가르는 것은 예술을 이해하고 해석하는 교양의 깊이다.

*아비투스
-소유하다(habere)에서 유래
-환경에 따라 취향이 결정된다. 취향의 형성은 가정환경에서 주입되는 확정 취향과, 그것을 기반으로 개인이 형성하는 독립 취향으로 구분된다.

-문화 자본은 돈으로 바로 획득할 수 없다
-경제 자본은 개인이 소유한 자본으로 만들어 낼 수 있는 잉여가치의 총량이다
-사회 자본은 인맥이다
-이 세 개의 자본은 유기적으로 우리의 취향을 이룬다.

*취향 소비
-최소 삶 유지비용을 감당한 이후에 취향을 탐색할 수 있다.

-가문과 브랜드의 공통점. 귀족 가문이 고유한 양식과 문장을 소유하는 것처럼, 브랜드 역시 자신의 취향과 위치를 보여줄 수 있다. 그러나 브랜드는 경제 자봉느로 손쉽게 구매할 수 있다는 게 차이점이다.
-상징 자본은 사회적 신뢰가 높은 상징을 뜻한다. 명문 학교 졸업장, 직업 등

*취향 계급
-피라미드 계급도: 자동차, 시계 등등.. 타인의 시선에 집착하는 것

-선물을 주는 것은 상대를 지배하게 만든다. "부르디외는 특정 사회를 연구하면서 선물을 주는 행위가 선물을 받는 사람으로부터 자연스러운 복종을 끌어내는 상징 권력을 획득하는 과정을 확인했다."

-텔레비전 비판
"텔레비전의 강력한 상징 효과는 시청자의 취향을 평평하게 만든다."
"다양한 장의 사람들이 텔레비전에 출연함으로써 그들이 속한 장에서 힘을 얻을 수 있게 된다."
"텔레비전은 거대한 미디어 자본이고 권력이다. 부르디외는 이 권력이 정치장과 경제장에 속한 권력에 의해 휘둘리지 않도록 철저하게 관리해야 한다고 말한다."

*장 이론 (field)
-장이란 개인뿐 아니라 특정 단체나 문화가 오랫동안 자신의 아비투스가 형성해 온 것이다. 예술, 스포츠, 종교 같은 장이 대표적이다.
-장은 장에 속하지 않은 사람이라면 도저히 이해할 수 없는 규정과 투쟁 그리고 믿음에 따른 가치 측정이 일어나는데, 이를 상대적 자율성이라고 부른다.

*취향 독립

-나만의 취향 갖기

-힙스터

반응형
Comments